사업대상
장애인
수혜 인원
101명
총 지원액
280,098,312원
C-SDGs
양질의 일자리 만들기
지원 배경
캄보디아는 내전으로 인해 지체 장애인 수가 많으며, 최근 경제가 급속히 발전하는 과정에서 늘어나는 차량 증가에 비해 교통관련 법규 및 도로, 신호체계 등 교통안전과 관련된 시민 의식이 정립되어 있지 않아 교통사고로 인한 후천적 장애인 수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2018년 우리는 자체적인 장애인 복지에 대해 설문조사를 장애인 직업재활에 맞추어 실시하였고 캄보이아 장애인의 욕구에 따라 직업재활 서비스가 가장 필요하다는 것과 장애인 직업연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장애인들이 근로에 대한 만족감을 느꼈고 근로의 욕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지속적인 소득확보를 위해 캄보디아 장애인이 참여할 수 있는 직업재활과 지속 가능한 사업장 운영에 초점을 맞춰 사업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목적
우리는 빨래방이라는 아이템이 노동 집약적으로 작은 공동체로 운영되고 있으며 다수의 사람이 협동하여 운영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업이라고 생각합니다. 직업훈련부터 시작하여 빨래방 운영, 협동조합 구축을 통한 민주적 사업체 운영을 통해 조합원이 될 장애인 훈련생들과 신뢰관계를 쌓고자 하였습니다. 정기적인 협동조합 교육과 준비기간을 걸쳐 협동조합을 설립할 계획이며 일자리 창출 및 사업장 안정화를 통한 캄보디아 장애인 일자리 모델의 초섯을 갖추어 나가고자 하였습니다.
사업 상세내용
세탁공동작업장 설립 및 운영
지원방식
직업훈련교육 이수자를 세탁공동작업장의 직원으로 고용하여 운영
지원내용
•
수도, 전기 등 보수공사 진행
•
물품 구입 지원 : 세탁기, 건조기, 다리미 등
•
서비스/위생/영수증 작성 교육 제공
•
빨래방 홍보 지원
지원기간/횟수
1개 설립
참여인원
14명
결과
2차년도에는 전년대비 매출액이 836%향상했으며, 3차년도에는 전년대비 매출액이 23.17%향상하였음
직업훈련 교육
지원방식
수선 전문강사를 고용하여 실습위주의 지속적인 교육 훈련
지원내용
•
비장애인 훈련생 선발하여 교육 지원
•
교육 책자 제작 및 배포
•
차량운행서비스 지원
지원기간/횟수
연간
참여인원
62명
결과
직업훈련교육 이수자 중 14명이 세탁공동작업장에서 근로
장애인 협동조합 조직
지원방식
핵심참여자 훈련생, 직원, 비장애인 대상으로 조합을 조직하여 조합운영
지원내용
•
협동조합 매뉴얼 제작
•
조합원 교육
•
협동조합 선진지 견학 지원 등
지원기간/횟수
16회
참여인원
11명
결과
조합 가입의 출자금 납부 부담이 있음에도 11명의 조합원이 가입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