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하인드
나꿈 수행기관 담당자들의 '사업, 수행'에 대한 이야기
나꿈이 사업 참여자(수혜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하시나요?
구체적으로 어떤 것이었나요?
학업유지 문해율향상 소득증대 취업률증대
생활수준향상 자립능력확보 커뮤니티활성화
인식개선 불평등완화 자기효능감향상
나꿈이 현지 지부와 직원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하시나요?
구체적으로 어떤 것이었나요?
•
사업운영 역량강화 : 모니터링/예산·회계관리 등
•
소통능력 강화
•
파트너십/네트워크 구축
나꿈이 귀 기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하시나요?
구체적으로 어떤 것이었나요?
•
사업실적 확보
•
사업 확장 (사업지역 확장, 신규사업 수주)
•
사업지역 네트워크 강화
•
파트너 확보
사업을 수행하면서 무엇이 가장 힘들고 어려웠나요?
문제해결을 위해 시도한 방법 중 가장 도움이 되었던 것은 어떤 것이었나요?
1.
소통 : 지부 직원 간, 본부와의, 현지 파트너기관, 현지 한국NGO, KCOC
2.
시스템 구축 : 보고-대응 시스템, 현지에 맞는 별도 지침
사업수행 중에 인상 깊었던, 기억에 남는 일이 있나요?
꿈을 향한 첫 걸음, 우리가 함께해요!
바리스타&베이커리 교육 수료생 중 해변가에 카페를 창업한 친구가 있어요. 그 카페에 놀러 갔었는데, 교육 때 배운 내용이나 기술을 적극 활용한다고 얘기하더라고요. 코로나로 어려운 시기였음에도 카페 운영을 통해 지속적으로 소득을 창출해내고 있는 것을 보고 엄청 뿌듯했어요.
나눔의 선순환, 희망의 시작입니다
양계활동으로 소득이 높아지면서, 그간 받았던 도움을 그대로 베풀기 위해 부모가 없는 아이를 입양하여 양육하고 학교에 보내 교육시키는 참여자(수혜자)가 있었어요. 참여자의 생활환경이 개선되는 것을 보는 것만으로 충분한데, 개인이 변화되고 발전하는 모습까지 보게 되어 감동이었습니다.
꿈이 희망이 되는 직업교육
직업훈련 수료 이후 실제로 취업에 성공한 교육생의 소득이 높아지면서, 슬럼가를 벗어나게 된 사례가 있어요. 그 교육생과의 인터뷰에서 더 밝은 미래를 꿈꾸는 삶을 살게 되었다는 답을 들었을 때 저희 또한 일의 동력을 다시 찾게 된 것 같았어요.
자립의 씨앗, 성장의 열매로 피어나다!
•
현지 직원들의 지속적인 코칭을 통해 자조그룹이 자발적으로 나서 조합으로의 전환을 요청한 일
•
현지 직원들이 자발적으로 사업기획과 운영에 참여하여 자립 기반을 마련하게 된 일
•
봉제교육생이 창업하여, 직접 만든 생산품을 선물 받았던 일
•
현지 고등교육기관 및 정부 부처와의 MOU를 통해 수료자들에게 국가기술자격증을 발급되도록 진행하니, 수료자들의 자존감이 높아지고 결과적으로도 모든 인원이 취업을 하게 되어 단체 자체 사업장의 필요 인원을 구할 수 없었던 일 등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