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사업소개
home

카야인터내셔널

사업대상

지역주민

수혜 인원

390명

총 지원액

297,355,369원

C-SDGs

교육 및 자립역량 강화

지원 배경

미얀마 양곤 더공 세이컨 69약궤 지역은 급속한 산업화와 함께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몰려든 이주민들이 높은 물가의 장벽에 막혀 도시로 진입하지 못하고 외곽지역에 정착하기 시작하며 형성된 도시빈민 지역입니다. 지역이 생긴 지, 10여 년이 지난 현재도 기본 인프라가 전무한 열악한 지역입니다. 약궤 내 노동 인구의 약 70%가 일용직 노동자이며 안정적인 소득이 없는 가구가 70~80%에 이릅니다. 마을 청년의 실업률은 58%였으며, 대부분 고등학교를 수료하였음에도 대학 진학이 좌절될 경우 무엇을 해야하는지 잘 모르고 있었습니다. 학교에서도 직업훈련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접해본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더불어 여성 가정의 비율이 37%임에도 불구하고 이중 27%만이 일정한 직업을 가지고 있습니다.

목적

우리는 대상 지역 주변 기업들과 협업을 통해 지역 내 기업 맞춤형 직업훈련센터를 운영하고자 하였습니다. 직업훈련센터 구축은 기술 습득기간, 재정 등 마을 주민의 부담을 줄이고 직업 훈련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파트너 기업과 win-win 협업 전략을 통해 기업 수요 맞춤형 직업훈련을 개발하고자 하였습니다. 기술 훈련과 동시에 언어를 포함한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하여 직장생활 적응 및 자기계발역량 강화뿐 아니라 준비된 인력을 채용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하고자 하였습니다.

사업 상세내용

직업기초능력 교육

지원방식

중·고등학생 그룹 및 청년, 기혼여성 그룹으로 나누어 직업기초능력 교육 진행

지원내용

봉제교육
바리스타 교육
제빵교육
멘토링 제공

지원기간/횟수

연간

참여인원

292명

결과

중·고등학생 그룹 대상 진로성숙도가 평균 20%향상하여 목표치를 달성함.

맞춤형 기술교육 및 실습

지원방식

기업과 직업훈련센터의 협업을 통한 기업맞춤형 기술교육 및 참여자 적성과 희망에 맞춘 참여자 맞춤형 기술교육 실시

지원내용

맞춤형 기술교육 제공

지원기간/횟수

11기수 진행 (기업맞춤형)

참여인원

148명 수료 (기업맞춤형)

결과

파트너기업을 통해 취업한 훈련생 비율은 평균 64.5%로 목표치를 161% 초과 달성 (2년차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한 기업인력축소 및 폐업으로 취업활동 불가)

사회적기업 구축 및 운영

지원방식

(2년차) 비즈니스 모델 기획, 제품개발 및 테스트 진행, 생산라인 구축을 통한 지속적인 일자리 창출 구조 구축

지원내용

조직 구성 및 운영 계획
제품 개발 및 테스트 진행
관련 산업파트너 기관 확보

지원기간/횟수

연간

참여인원

20명

결과

기 수료생 중 여성 20명을 모집하여 조직 구성, 현지 파트너 및 담당자 발굴 완료. 생산제품 제작 교육 및 상업참여자 중 20명 고용 추진

사업 참가자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