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사업소개
home

함께하는 사랑밭

사업대상

장애인

수혜 인원

127명

총 지원액

67,444,778원

C-SDGs

사회적 약자의 권리증진

지원 배경

2005년 캄보디아 장애인 인구는 6.4%로 주변국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높은 장애 출현율에도 불구하고 캄보디아 장애인 정책은 이제 시작단계에 놓여있습니다. 장애아동은 학교 입학이 쉽지 않고 학업 유지율 및 상급학년 진학률이 낮으며, 동일한 연령대의 비장애아동보다 학교 교육을 받는 경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미디어를 통한 교육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활용 가능하지만 개발도상국의 장애인에게는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첨단정보통신 기기의 활용에 있어 문화지체현상과 유사한 형태가 나타나 문화적·사회적 소외를 경험하게 됩니다. 이는 정보통신 분야의 소외계층을 형성하는 사회적 문화를 야기하는데 이르게 됩니다.

목적

우리는 KROUSTA THMEY 시각 및 청각장애인 학교에서는 점자책과 수화교재를 통해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장애학생이 차별 받지 않고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습니다. 이러한 교육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비장애학생과 동등하게 교육을 받기에는 프로그램과 서비스가 한정적입니다. 그렇기에 지역사회 관련 기관과 교류함으로써 장애 유무와 관계없이 동등하고 다양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하였습니다.

사업 상세내용

전자도서 지원 및 전자도서관 구축

지원방식

시·청각 장애인 학생을 위한 전자도서 지원 및 도서관 내 멀티미디어실 구축

지원내용

시·청각 장애 학생을 위한 도서 구입 및 제작
전자도서 제작 (교육부, 타 기관 연계)
도서관 영상 및 음향장비 설치
도서관 확장 및 인테리어 공사 지원

지원기간/횟수

1회

참여인원

-

결과

전자도서 및 대체자료 제작·구입 목표치를 100% 달성함.

독서문화 프로그램

지원방식

장애 종류에 따른 독서문화프로그램을 개발 및 실시

지원내용

독서프로그램 참여교사 미팅
독서문화 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

지원기간/횟수

8회

참여인원

150명

결과

교사 코로나 확진 및 학교 폐쇄로 인해 독서문화프로그램 개발 목표달성률을 66%달성함.

장애인식교육

지원방식

교내 관계자 대상 장애인식 교육 및 비장애, 장애학생이 함께 하는 낭독회 진행

지원내용

교사 대상 장애인식교육
낭독회를 통한 비장애 학생 대상 교육
학부모 대상 부모교육 및 장애인식개선 교육
도서 낭독 및 촉각놀이 진행(비장애학생+장애학생)

지원기간/횟수

1회

참여인원

19명

결과

펜데믹 상황으로 인한 학교출입불가로 교육실시율은 50% 달성함.

사업 참가자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