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대상
장애인
수혜 인원
2,123명
총 지원액
312,117,947원
C-SDGs
사회적 배체 감소와 불평등 완화
지원 배경
서(西)케냐의 경제 중심지인 우아신 기슈 지역은 등록장애인 수가 140,000명이지만 사회복지공무원은 단 8명으로 장애인 관리에 사각지대가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케냐에서 장애인은 저주받은 자, 쓸모없는 존재, 가난한 존재라는 인식이 있어 지역사회로부터 차별 및 고립 당하고 있었습니다. 장애에 대한 잘못된 인식 혹은 무관심에 영향을 받은 장애인은 스스로를 이에 동일화 시키며 사회참여를 포기하기도 합니다. 낮은 장애인식은 장애인을 위한 교육, 경제적 안정성, 의료시설 접근성 등을 고려하지 않기에 사회적으로 더 고립되어 사회참여가 더욱 어려워지고, 장애인 등록에 있어 긴 소요기간, 신청 누락 등 장애인 등록 시스템에도 보완이 필요했습니다.
목적
우리는 장애인의 사회참여를 저해하는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고, 장애인 사회참여 동기 부여와 동시에 사회통합 기반을 마련하고자 했습니다. 장애인 구성원간의 동기부여, 성공한 장애인 사례 모방에 초점을 두고 우아신 기슈 내 기 조직된 40개의 장애인 그룹의 역량강화 활동, 경제적 안정성을 증진하고 사회참여를 지원했습니다. 나아가 현지기관과 협력하여 사업 수행 전문성을 확보하고자 했습니다.
사업 상세내용
장애인식 개선
지원방식
장애의 이해, 장애인 인권·법·제도, 장애체험 등 교육을 통해 장애인 장애정체성 향상 및 사회통합 분위기 조성
지원내용
•
장애인식개선 교육 프로그램 개발
•
교육 참가자 모집
•
장애 이해도 평가
지원기간/횟수
총 30회
참여인원
1,569명
결과
3년차의 경우 코로나 19로 인한 거리두기 및 참석 인원 제한으로 83%의 참여율을 달성하였지만, 3개년 평균 104%(참여자 수 기준)의 교육 참여율을 보이고 있음.
장애인그룹 대상 비즈니스 교육
지원방식
장애인 그룹원을 대상으로 비즈니스 교육 진행 및 우수 제안서에 대해 사업 자금 지원
지원내용
•
비즈니스 기획 교육 제공: 제안서 작성법 등
•
강사 및 수화 통역사 섭외
•
모니터링 및 평가
•
우수 제안서 사업 자금 지원
지원기간/횟수
총 16회
참여인원
454명
결과
3개년 평균 104%(참여자 수)의 참여율을 보이고 있으며, 총 참여기관의 90%가 사업제안서를 작성하는 성과를 보임.
빈곤 장애인 식량 및 방역물품 지원
지원방식
(3년차) 코로나 19로 생계가 곤란해진 빈곤 장애인 가구의 생계 안정 및 코로나 19 감염 예방을 위하여 식량 및 방역물품 지원
지원내용
•
지원 키드 준비
•
개별가정 방문하여 지원 물품 전달
지원기간/횟수
1회 진행
참여인원
308명
결과
장애인 308명을 대상으로 식량 및 방역물품을 지원하여 지원율 102%를 달성함.